일반인이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을 받음 급성심정지 환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전히 목격된 급성심정지 중에도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지 않은 경우도 있어 일반인 대상 심폐소생술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은 30일 제10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2020년 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3만여 명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3만 1652명으로,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61.6명이었다.
급성심장정지 발생률은 남자에서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시·도별로는 제주에서 인구 10만 명당 98.0명으로 가장 높고, 세종이 33.7명으로 가장 낮았으며, 경기를 제외한 8개 도 지역이 1~8위를 차지했고, 수도권과 광역시, 세종 등이 9~17위에 분포했다.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 중 병원을 방문해 의무기록조사까지 완료한 환자는 3만 1417명이었으며, 이 중 2345명이 생존해 생존율은 7.5%였다.
이는 조사가 시작된 2006년의 2.3%에 비해서는 개선된 수치이나, 2019년 8.7%보다 감소한 것이며, 시·도별로도 대체로 2019년에 비해서 생존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뇌기능회복률도 2020년 4.9%로, 2019년 5.4%에 비해 감소했다.
일반인이 시행하는 심폐소생술을 받은 환자는 2020년 26.4%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급성심장정지 발생 시 목격자가 있어야 심폐소생술이 시행될 수 있는데, 2020년 급성심장정지로 쓰러지는 과정이 목격된 경우는 50.1%로, 목격된 급성심장정지 중에도 심폐소생술이 시행되지 않은 경우가 있음을 시사한다.
급성심장정지 전문가들은 국내 코로나19 감염이 2020년 1월부터 발생했으므로, 2020년 급성심장정지조사 결과 활용 시에도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이 고려돼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국가 급성심장정지조사감시 자문위원회 위원장인 연세의대 정성필 교수는 “코로나19 유행으로 병원 밖에서 발생하는 급성심장정지 생존율이 감소했다는 결과가 여러 나라에서 보고되고 있다”며 “감염 우려에 따른 적극적인 심폐소생술 시행 감소, 방역조치 및 이송병원 선정 지연 등으로 구급활동 제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병원 이용 감소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소방청 신열우 청장은 “코로나19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 환자의 생명과 구급대원의 안전을 모두 생각하는 최선의 대응을 위해 119 구급대는 오늘도 헌신적 노력을 멈추지 않고 있다”며 “이번 심포지엄이 더 많은 심정지 환자에게 새로운 삶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지혜를 모으고 정보를 공유하는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93
한편, 급성심장정지조사에 대한 상세한 통계는 2022년 1월에 발간할 ‘2020년도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를 통해 제공할 계획이다.
한국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은 2011년에 처음 개발·보급되기 시작해 2015년, 2020년에 개정됐으며, 2020년 개정 내용에는 코로나19 등 감염 우려 사항에서의 심폐소생술 시행 방법이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