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현황에 맞는 중증외상 이송 프로토콜 마련 필요성과 함께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를 발전시켜 이어가기 위한 제안들이 해외사례와 함께 제시됐다.
질병관리청은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를 통해 2019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중증외상 현황을 24일 서울대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에서 개최된 결과보고회를 통해 발표했다.
조사 결과, 2019년 중증외상환자는 총 9115명으로, 2018년 8803명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남자 환자가 여자의 2.8배였고(남자 6695명, 여자 2420명), 연령별로는 50~59세가 1907명으로 가장 많았고, 0~9세가 84명으로 가장 적었다.
한 해 동안 발생한 중증외상은 인구 10만 명당 17.8명 수준이었으며, 시·도별로는 충북(46.4명)이 가장 높고, 경기를 제외한 8개 도 지역이 1~8위를 차지했고, 수도권과 광역시, 세종 등이 9~17위에 분포했다.
중증외상의 55%는 운수사고로 발생했고, 추락 및 미끄러짐이 38%였다. 대부분의 시·도에서 운수사고가 1위였으나, 서울(추락 및 미끄러짐 54%, 운수사고 42%), 부산(각각 50%, 44%), 인천(각각 49%, 46%), 광주(각각 49%, 44%)는 추락 및 미끄러짐으로 발생한 경우가 더 많았다.
환자 중 4357명은 생존했으나 4758(52%)의 환자가 사망했고, 중등도 이상의 장애가 발생한 환자도 2667명으로 생존자의 61%였다.
중증외상은 아니지만 손상중증도 점수 9~15점 사이의 중증도 환자 중에도 5%가 사망하고, 생존자의 42%에게 중등도 이상의 장애가 발생했다.
이번 결과보고에 대해 서울시보라매병원 송경준 교수는 “권역심뇌혈관센터, 권역슬롯 꽁 머니센터 등의 역할을 어떻게 실용적으로 나눌 것인가가 중요한 이슈”라며 “지역 현황이나 특성들이 다 다르기 때문에 복지부나 질병청이 하나의 결정체계를 만들 수는 없다. 그 지역의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환자 이송 프로토콜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아직도 운수사고로 인한 중증외상 사례가 많다. 운수사고 예방이나 기술적인 보완, 법률적인 제제 및 벌금 부과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영국 중증외상 관리체계(TARN)에 대해서 설명한 서울대병원 박정호 교수는 TARN에서 벤치마킹이 필요한 요소들을 제시했다.
TARN은 1990년 설립된 유럽 최대 외상 레지스트리로 현재 영국 전체 중증외상센터를 포함한 220여개 병원이 참여하고 있으며, 온라인 기반으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특히 주요 조사 항목 및 지표 선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대해 박 교수는 “우리는 연도별 보고체계를 하고 있지만, 상용화된 틀을 통해서 영국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언제든지 핵심적인 자료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TARN에서 벤치마킹이 필요한 것들로 ▲자료의 정확성에 대한 지속적인 강조 ▲복잡한 통계를 직관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노력 ▲자료를 경제적인 보상체계에 활용 ▲전문가 및 환자를 포함시켜 지표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를 시행 ▲자료의 시의성 및 활용성을 온라인 기반으로 극대화 ▲독자들을 생각한 다양한 방식의 보고체계 마련 등을 제시했다.
특히 박 교수는 “대상에 따른 다양한 보고체계를 활용하는 것이 핵심 벤치마킹 요소”라며 “구급, 병원, 시도공무원, 주요 정책결정권자들에 맞는 보고체계를 도입하고 지속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 충분한 자료를 수집해 기초 자료가 구축된 이후에는 시의성을 높이면서 효과적인 슬롯 꽁 머니체계 품질관리에 활용되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끝으로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중증외상은 운수사고와 추락, 미끄러짐 등으로 주로 발생하며 나와 내 가족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는 경각심이 필요하다”면서 “지역별로 중증외상이 주로 발생하는 연령, 기전 등을 파악하고 각 문제에 집중해 예방관리 대책을 마련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